코스피 코스닥 지수 뜻 차이 확인하고 주식 찐따 탈출하자! (코스피200 vs 코스닥150)
이제 막 주식 시작하려는데.. 코스피 코스닥 도데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베스트인사이터입니다. 이 글 보고 계신 분들께서는 이제 막 주식에 관심을 갖고 계실 것 같습니다. 코스피와 코스닥이 도대체 무엇이 다른 것일까, 둘의 차이점이 궁금하실 것 같습니다. 막상 용어부터 어려워 혼란스러우실 것 같은데요. 단어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보았어도 그 뜻에 대한 정확한 내용이 궁금하실 것 같습니다. 모든 배움은 단어로부터 시작됩니다. 용어의 뜻을 정확하게 알아야 핵심을 꽤뚫을 수 있는 것입니다.
시작이 반이다. (Well begun is half done.)
- 아리스토텔레스
'좋은 시작은 이미 반을 끝낸 것과 같다.'고 고대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말했습니다. 무슨 일이든 시작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하지만 우선 시작을 하고 나면 일을 끝마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시작에는 많은 힘이 들어가지만 한 번 시작하고 나면 관성이 붙어 속도가 빨라지고 점차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의 금융공부도 이와 같기를 바라겠습니다. :) 코스피 코스닥 용어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께서는 모르는 것이 당연합니다. '시작이 반'이라는 말이 있듯이 검색을 통해 이렇게 알아보고 있는 것만으로도 이미 훌륭하다고 생각됩니다.
위의 사진이 어렵게만 느껴지시는 분들일지라도 오늘 글을 끝까지 읽으신다면 위의 사진을 조금 더 수월하게 바라보시는데 도움되실 것입니다. 오늘은 첫 단추부터 제대로 꿰고 싶은 분들을 위하여 코스피 코스닥 지수 뜻과 차이점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또한 관련 기사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오늘 내용을 끝까지 확인하셔서 코스피 코스닥 지수 뜻에 대해 정확히 알아보시고 기사 내용을 통해 이해했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요즘 주식 폭락장에 다들 우울한 분위기인데요. 이런 분위기에는 다른 것이 집중하거나 하나라도 더 배우는 것이 이득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신다면 이런 암울한 폭락장에서 공부를 통해 조금이나마 희망도 되찾아 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코스피 코스닥 지수 뜻
2. 코스피 코스닥 지수 차이점
3. 관련 최신 기사 읽기
1. 코스피 코스닥 지수 뜻
우선 코스피(KOSPI)는 한국종합주가지수라고 부릅니다. 여러분들께서도 한번 쯤은 들어보셨을 우리나라 기업이 모두 이 코스피 시장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 네이버, 카카오 등과 같은 기업들이 상장되있는 시장인 것입니다.이에 따라 코스피가 오르면 국내 기업의 가치 또한 올라간 것을 의미합니다. 위의 코스피 사진을 다시 보면 현재 코스피 지수는 2,437.86포인트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숫자는 1980년 1월 4일에 비해 우리나라 기업이 얼마가 커졌는지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1980년 1월 코스피가 100포인트였으므로 이 때에 비해 규모가 약 24.3배 커짐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코스피를 통해 우리나라 경제 규모의 성장과 하락세를 확인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럼 조금 더 응용해서 '코스피 200'의 뜻은 무엇일까요?
코스피 200이란 코스피에 상장된 기업 중 시가총액이 높고 거래량이 많은 기업 200개를 추려서 만든 지수를 의미합니다.매년 6월 어떤 기업이 들어가고 나와야 할지 1년마다 기업 리스트는 변동됩니다. 이러한 기업 리스트 정보는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께서 유심히 보고 계시는 기업이 만약 리스트에 포함된다면 해당 기업은 그만큼 튼튼하게 성장중이라는 의미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코스닥(KOSDAQ)이란 코스피까지는 가지 못하는 중소기업 등이 포함되어 있는 시장을 의미합니다. 코스닥 지수는 1996년 7월의 1,000포인트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의 사진의 경우 코스닥 지수는 733.56포인트입니다. 1996년 7월 1,000포인트 였으니 약 0.7배 낮아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응용하여 '코스닥 150'이 의미하는 바를 눈치 빠르신 분들께서는 이미 알아채셨을 것 같습니다.
코스닥 150이란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중 유망한 150개를 추린 지수를 의미합니다.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기업의 경우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이다보니 코스피 시장에 비해 변동성이 커진다는 것을 유추해보실 수 있습니다.
2. 코스피 코스닥 지수 차이점
위의 코스피 코스닥 지수 뜻을 정확하게 이해하신 분께서는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보실 수 있으실 것 같습니다. 코스피는 결국 대기업을 위한 시장, 코스닥은 중소 및 벤처기업을 위한 시장인 것입니다. 안정적인 성향의 투자자의 경우 변동성은 적지만 비교적 튼튼한 기업이 많은 코스피 지수를, 공격적인 성향의 투자자이신 경우 변동성이 많지만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 가능한 코스닥 지수를 따라가실 수 있습니다.
3. 관련 최신 기사 읽기
우선 신문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해보겠습니다.
코스피 지수가 9월 30일 기록한 연저점인 2134.77에 바짝 다가섰다고 합니다. 기관 투자자가 2999억 원 어치를 순매도하며 하락세를 주도했다고 하는데요. 코스닥지수의 경우도 거의 3% 하락한 651.59에 거래를 마쳤다고 합니다. 종가 기준으로 2020년 5월 6일 후 2년 10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한 것입니다.
이에 대해 유안타 증권의 직원은 외국인의 순매도량이 누적으로 쌓여 있는 것이 아니라 부담이 큰 경우는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미국 발표를 앞두고 잠시 위험 회피성 매물로 나온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입니다.
코스닥이 연 저점을 찍은 날이 오늘입니다.
이 말 뜻은 이번 년도 주식 시장이 오늘만큼 좋지 않았던 적이 없다는 뜻이겠죠.
외국인은 국내 주식을 1조 넘게 팔아치웠습니다.
코스닥 연저점이라니, 앞으로 주식 시장은 어떻게 될까요? 지금 들어가야 새로운 부자가 탄생한다는 의견도 있으며, 아직 시기상조이며 관망을 통해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코스닥 연저점을 기념하여 저의 개인적인 생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금융 전문가를 통해 들은 바, 앞으로 몇 달 안으로 적금 이자율이 더욱 높아질 것이기에 현금을 들고 있으라 하였습니다. 상황이 혼란하니 현금을 들고 안전한 예적금을 통해 원금 보장 및 수익 실현을 하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렇다고 마냥 관망만 할 수는 없는 노릇일 것입니다. 시장 상황이 좋지 않더라도 가치에 비해 유난히 저점을 찍고 있는 기업 또한 눈에 보이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적금과 배당주, 그리고 가치주에 적절히 배분하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 듭니다. 가장 좋은 경우는 현금 비중을 높이는 것이며, 계속해서 주식을 확인하면서 상황을 체크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판단됩니다. 무엇보다 본업에 충실하며 계속해서 자신만의 가치를 키워나가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시간을 가치를 끌어올리는 데에 투자하되, 주식 상황을 계속해서 확인하고 타이밍을 보는 것이 좋다고 보입니다.
이 글을 여기까지 읽어주신 분께서는 오늘 글을 통해 코스피 코스닥 지수 뜻 차이점에 대해 확실하게 알아보셨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여러분께서 다시 한 번 기억해보실 수 있도록 간단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코스피(KOSPI)는 대기업 등이 상장되어 있는 시장
2. 코스닥(KOSDAQ)이란 코스피까지는 가지 못하는 중소기업 등이 포함되어 있는 시장
3. 코스피 200 vs 코스닥 150? 안정적인 성향은 코스피 200지수를 따르고, 공격적인 성향은 코스닥 150 지수를 따를 수 있다.
오늘은 코스피 코스닥 지수 뜻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고 관련 기사 내용을 확인해보았습니다. 시작이 반이라는데 벌써 반을 끝낸 분들께 찐한 축하의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 혹시 여러분께서는 코스닥 연저점의 상황에서 어떠한 포지션을 염두에 두고 계신가요? 혹은 어떤 포지션이 가장 괜찮을 것 같으신가요? 여러분의 다양한 의견이 궁금합니다. 혹시 다른 의견이 있으신 분께서는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댓글 기다리겠습니다.
- 함께 참고하면 좋은 글 확인바랍니다. -
삼성전자 배당금, 이래도 계속 보유하시겠습니까? (+ 2022년 4분기 지급일, 금액 조회)
삼성전자 배당금, 이래도 계속 보유하시겠습니까? (+ 2022년 4분기 지급일, 금액 조회) 국민 주식 삼성 열차 계속 탑승하실 분은 절대 읽지 마세요. 안녕하세요. 베스트인사이터입니다. 이 글을 보
bestinsighter.tistory.com
맥쿼리 인프라 배당금으로 100만 원 수익 얻는 방법(+ 기준일, 지급일, 주가 전망)
맥쿼리 인프라 배당금으로 100만 원 수익 얻는 방법(+ 기준일, 지급일, 주가 전망) 아.. 맥쿼리 인프라로 100만 원 따박따박 받고 싶다..! 안녕하세요. 베스트인사이터입니다. 이 글 보고 계신 분께
bestinsighter.tistory.com
'예적금, 주식, 배당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얼티인컴, 미국 월 배당주로 '1년 12번' 배당 받기! (+ 주가, 배당금, 배당일) (2) | 2022.12.01 |
---|---|
매월 배당금 받기, 미국 배당주 투자 TOP3 추천 (+ 매달 배당 받는 포트폴리오) (0) | 2022.11.30 |
토스뱅크 파킹통장 만들기, 매일 이자 2% 받는 CMA 장단점 비교 추천 (1) | 2022.11.25 |
스마트저축은행, 5% 금리 이자 높은 적금 추천(+인터넷 뱅킹) (0) | 2022.11.25 |
스타벅스 배당금, 매 달 5만 원 스벅 쿠폰 받는 방법? (+ 2023년 배당락일, 주식 주가) (0) | 2022.11.25 |